우리나라는 1인당 국민소득이 2만4000달러(2013년 기준)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회원국인 동시에 세계은행이 분류한 고소득국가군에 해당된다. 또한 HDI(UN인간개발지수)가 세계 13위이고, 영국의 유력 경제지인 이코노미스트가 조사하는 ‘가장 태어나기 좋은 나라’ 순위에서도 19위에 올라있다.

한국전쟁 후의 잿더미 속에서 불과 60여년 만에 가장 못살던 나라가 이제는 전 세계가 놀라워하는 경제대국이 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 25개국만이 가입한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이 될 정도로 그야말로 상전벽해의 주인공이 되어 전 세계 많은 나라로부터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때 미국에서 백인 중산층으로 태어나는 것은 ‘로또 당첨’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었다. 이는 선진국 국민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많은 부귀와 복지를 누릴 수 있는 것에 대한 부러움이 담긴 표현이다.

헌데 요즘에는 이런 선진국의 범주에 우리나라도 포함된다고 하니 참으로 가슴 벅찬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런 경제대국 대한민국에 세계 그 어느 나라도 부러워하지 않는 부분이 하나 있으니, 그것은 바로 ‘산업안전’이다. 우리나라 일터의 안전보건수준은 경제대국의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가장 공통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수치가 사고사망만인율인데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0.73을 기록했다. 지속적으로 줄고는 있지만 2009년에 일본이 0.20, 미국이 0.35, 독일이 0.16이니 그들 나라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추세이고 그만큼 위험한 일터라고도 볼 수 있다. 경제와 관련된 지표는 선진국 대열에 있는데 경제활동의 주체인 근로자들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안전은 왜 부끄러운 성적표를 받는 것일까?

보다 풍요로운 삶을 위해 오늘도 많은 근로자들이 산업현장의 일터에서 열심히 일을 하고 있는데, 정작 풍요로운 삶을 살아야 할 근로자들이 왜 하루에도 수백명씩 부상을 당하고 6~7명이 매일 사망하고 있는 것일까. 이것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우리의 안타까운 자화상이다.

단기간에 산업화를 추구하는 동안 우리는 과연 무엇을 잃고 있는 것인지 심각하게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의 위상이 지금까지 올라오는 동안 우리 산업현장의 일터에서 산업재해를 당하는 근로자들이 얼마나 많이 발생되었는지 곰곰이 되짚어보고 더 이상 불행한 삶을 살지 않도록 모두가 힘을 쏟아야 한다.

지금 우리는 안전을 반석에 올려놓지 못하면 안 된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모든 계층이 참여해서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과 더불어 안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모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들도 최근 들어 안전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노·사·민·정 모두가 더욱 노력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공익성을 갖고 있는 안전분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서 법준수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 문제가 생겼는데 그에 대한 처벌이 약하면 근원적인 예방대책을 강구하기 보다는 사후대처에 치중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사업주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방침을 천명하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

상명하복의 문화가 짙은 우리나라의 경우 사업주의 관심여부에 따라 사업장의 안전수준이 크게 좌우된다. 사업주는 가장 큰 재산인 사람을 잃고는 그 어느 성과도 거둘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근로자들은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서 안전하게 일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지금까지 아무 일 없었다고 불안전한 행동으로 작업을 계속한다면 결국 언젠가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정부의 강력한 법집행과 관리’, ‘사업주의 안전에 대한 관심과 투자’, ‘근로자의 안전수칙 준수’ 이 세 가지가 ‘3위 1체’가 되어 유기적으로 움직일 때 경제대국 대한민국의 위상에 맞는 안전한 일터를 만들 수가 있고 우리 후손들에게 안전한 대한민국을 물려줄 수가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