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추락재해 예방 시스템’ 시범 구축

출처 : 고용노동부
출처 : 고용노동부

산재사망사고가 빈발하는 지붕공사 작업을 대상으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감독이 이뤄질 전망이다.

안전보건공단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지붕공사 추락재해 예방 시스템’을 시범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의 시설이나 장소를 가상의 디지털 공간으로 구현한 것으로,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드론 사진을 통해 지붕의 재질, 노후도 등 위험 요소에 대한 판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공단은 이러한 기술을 추락사고가 빈발하는 지붕공사 현장에 접목키로 했다. 실제 최근 3년간(2020년~2022년) 축사·공장·창고 등 건설현장 지붕작업 중 발생한 사고사망자 수는 125명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사고는 특히 1~2일의 소규모 초단기 공사에서 빈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공단은 자체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 접근이 쉽지 않은 축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지도를 구축했다. 경상남도 합천군과 협업해 대상 축사 405개소를 선정하고 드론으로 항공촬영(해상도 5㎝/pixel)을 실시했다.

이후 촬영된 축사 지붕의 위험도를 판정하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 지붕 재질, 노후, 파손, 채광창·태양열 발전·개구부 등 위험요소에 면적과 수량 정보를 반영한 기준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위험-심각-경고-주의-양호 등 5단계를 마련했다.

현재는 축사의 위치정보와 위험도 정보를 시각화한 디지털 지도가 제작 완료된 상태다. 고위험 축사 직접 기술지원과 OPS 등 안전보건자료 배포, 지자체 합동점검 및 캠페인 등 산재예방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공단은 내년부터 축사뿐 아니라 산업단지 등 지붕공사 위험 사업장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지붕재 종류 및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자동 인식 시스템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위성·항공촬영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셋도 구축하고, 그밖에 추락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등 지붕공사 근로자 보호조치도 시범 실시할 예정이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지붕공사 고위험 사업장 밀집지역 등에서 산재예방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라며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넓은 지역에서 지붕 위험도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하게 구축하면 추락위험 구간 관리와 작업현황 밀착 관리 등 효율적인 산재예방 사업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종주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디지털 트윈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산재예방 모델 구축을 통해 효율적인 사망사고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스마트 안전보건 시스템을 발굴해 중대재해 감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