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 발표

‘전문의 네트워크’ 내년 시범 운영, 보건관리 취약 사업장 기술지원 강화

제2차 심뇌혈관질환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사진제공 : 뉴시스)
제2차 심뇌혈관질환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사진제공 : 뉴시스)

보건관리가 취약한 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와 야간교대 근무자에 대한 심뇌혈관질환관리가 강화돼 추진된다. 또한 급성심근경색 등 심·뇌혈관질환 환자들의 치료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도록 지역 내 전문의들의 진료 협력체계를 지원하는 ‘인적 네트워크’가 내년 1월부터 시범 도입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등 관계부처는 지난 31일 국무총리 주재 제27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시행하고 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먼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선행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에 대해 환자 중심의 포괄적 관리가 추진된다. 검진결과, 건강위험요인 보유자에 대해서는 맞춤형 건강상담을 제공하고, 검진결과를 토대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등을 통해 만성질환 관리를 강화한다. 특히 복합만성질환자 등에 대해 관리대상 환자 기준을 마련하는 가운데, 생애주기별 예방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위험요인별 맞춤형 관리 방법을 안내하는데 중점을 둔다. 국가건강검진내 이상지질혈증 검사 확대 등도 검토키로 했다.

아울러 사업장 내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심뇌혈관질환 고위험 직업군에 대해 경동맥초음파, 심전도 등 특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운데, 심뇌혈관 발병위험 보유자 등에 대해 심층 건강진단 검진비용으로 약 17만원씩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건관리가 취약하고 업무상 질병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및 야간교대 근로자 등에 대해서는 보건관리 기술지원이 추진된다. 50인 미만 사업장 등의 작업환경 및 근로형태 등을 파악하여 공통지원과 테마지원 등 사업장별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심뇌혈관질환 인프라 중장기 확충안(자료제공 : 보건복지부)
                                             심뇌혈관질환 인프라 중장기 확충안(자료제공 : 보건복지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24개 권역으로 확대 지정 

한편, 이번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은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환자를 살릴 ‘골든타임’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운영된다.

이에 맞춰 지역 내 전문의들이 팀을 꾸려 운영하는 ‘심뇌혈관질환 인적네트워크 건강보험 시범사업’도 시행된다. 네트워크 팀의 경우 골든타임 내 도달 가능한 지역의 의료기관에 속한 심뇌혈관질환전문의와 응급의학전문의, 흉부외과 전문의 등 최소 7인 이상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최소 30개 팀을 선정해 팀당 5억7000만원에서 최대 11억7000만원까지 건보 수가를 별도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보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국 14개 권역에 지정해 운영 중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치료, 관리까지 전주기 전문치료가 가능한 통합 거점기관으로 개편되고, 2027년까지 24개 권역으로 확대 지정된다, 3년 주기로 평가를 실시하여 재지정 여부를 결정하고, 재지정이 어렵지만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권역에 해당할 경우 육성형 권역센터로 지정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심뇌혈관질환의 골든타임 사수는 환자의 조기 인지와 대처에서 시작되고, 중증·응급 전문치료로 신속하게 연결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정책 측면에서도 환자 중심의 전주기 예방·관리와 인적 네트워크 도입 등 중증·응급치료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과제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