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노동자 중에서도 저소득층의 노동 생산성 손실 비율 높아

주당 근로시간이 길어질수록 건강 문제로 인한 결근, 조퇴, 지각, 업무수행 능력 저하 등으로 노동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동욱 연구강사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만 19세 이상 성인 임금근로자 3890명을 대상으로 근로시간과 노동 생산성의 상관관계를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 문제로 생긴 노동 생산성 손실에 대해 6개 항목, 10점 척도로 조사했다. 노동 생산성 손실은 건강 문제로 인한 결근, 조퇴, 지각 등에 따른 근로시간 손실과 출근은 했지만 건강 문제로 업무수행 능력이 저하된 상태로 정의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2.4시간이었고, 건강문제로 인한 평균 노동생산성 손실은 26.6%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출근은 했지만 건강 문제로 업무수행 능력이 저하된 상태가 96% 정도였고, 건강 문제로 인한 결근, 조퇴, 지각 등에 따른 근로시간 손실은 4% 이하였다.

또 연구팀이 주당 근로시간(4개 그룹, 40시간 미만.40시간.41~51시간.52시간 이상)과 가구소득 수준(3분위), 성별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52시간 이상 군은 40시간 군에 비해 건강 관련 노동 생산성 손실이 남성은 5.1%, 여성은 6.6% 더 컸다.

특히 장시간 노동에 따른 건강 관련 노동 생산성 손실이 저소득층일수록 더욱 뚜렷했다. 가장 소득이 낮은 군을 기준으로 52시간 이상 군은 40시간 군에 비해 건강 관련 노동 생산성 손실이 남성은 5.8%, 여성은 10.1% 더 많았다.

저소득층은 건강이 좋지 않아도 소득을 얻기 위해 장시간 노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 생산성 손실과의 연관성이 더욱 잘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런 행동 양상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욱 뚜렷했다. 강모열 교수는 “저소득층 근로자의 장시간 노동은 고소득층 노동자와는 다른 수준의 사회·경제적 압력이 있다는 점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노동현장에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장시간 노동을 하지만, 장기적으로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켜 오히려 노동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업이 근로자가 적정 시간을 근무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병가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노동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합리적인 대안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