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대한 노력 시급”
AI 등 비교우위 기술분야 전무

미래 성장 동력인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인력 경쟁력이 크게 뒤쳐져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차 산업혁명 경쟁력의 핵심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1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9개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이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인력 부족률은 29.4%로 조사됐다. 인력 수요에서 1/3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또 2020년을 기준으로 4차산업혁명 관련 인력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한국의 인력을 100이라 가정할 경우 미국은 123.3, 독일은 114.4, 일본은 107.8, 중국 106.7 순으로 나타나 한국이 가장 뒤쳐졌다.

특히 5년 뒤인 2025년에도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 순으로 여전히 한국은 최하위일 것으로 예상됐다.


◇9개 기술 분야 중 6개 분야에서 하위권…5년 뒤에는 더 뒤쳐져
4차 산업혁명의 9개 기반기술에 대한 인력경쟁력 1위 분야(공동 1위 포함)를 조사한 결과,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독일은 4개(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중국은 3개(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일본은 2개(블록체인, 첨단소재)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비교대상 국가들 중 가장 앞선 분야가 단 하나도 없었다. 9개 기술분야 중 인공지능(AI)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것이다.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3개 분야에서 중국을 앞섰을 뿐이다.

한편 국내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응답 기관에서는 ▲전공 개설 확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관학 협력 활성화(14.8%) ▲성과보상제, 유연근무제 등 인력 유치를 위한 유연한 근로환경 및 조직문화 조성(14.8%)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14.8%) ▲해외 인력 유치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지원(3.7%)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