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위험가스 감지능력 10배 높아

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가스감도를 10배 이상 높인 초고감도 가스센서를 개발했다. 이에 따라 유해·위험가스의 누출 등으로 인한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고려대 이종흔 교수 연구팀이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나노구조체를 합성해 초고감도 가스센스를 개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의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센서’는 소자가 매우 작고 극소량의 감응소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가스검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가스감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금속염(Sn), 카본나노튜브(CNT), 폴리스티렌 비드(Polystyrene beads)가 분산된 용액을 고온에서 초음파 분무 열분해 나노, 메조, 마크로 기공을 3차원으로 연결된 구조를 설계, 초고감도의 가스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는 산화주석(SnO2)을 기반으로 하는 센서에 비해 감지감도가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참고로 가스센서는 유해가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식품 등의 품질과 신선도를 판별하는 등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종흔 고려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가스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분야와 에너지, 환경소자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유해위험 가스 검지 분야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NPG 아시아 머티리얼스(NPG Asia Materials)’에 지난 11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