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서울 행당동에서 CNG버스가 폭발해 승객 등 18명이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다친 이들 모두가 안타깝지만 특히 이 사고로 발에 심각한 중상을 입게 된 꽃다운 스물여덟의 한 젊은 여성의 소식은 국민 모두를 비통하게 했다.

이번 CNG버스 폭발사고는 버스가 연료통의 클램프(용기고정부품) 볼트가 헐거워진 채 운행을 계속하다가 진동 등으로 인해 복합채에 손상을 입게 된 것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밸브 오작동 및 밸브 전선의 단선 등으로 연료통에서 충전가스가 방출되지 못한 것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이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다른 곳에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원화된 CNG차량 관리 체계’와 ‘허술한 점검’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나라 CNG차량의 문제는 대부분 이원화된 관리체계에서부터 시작된다. CNG용기의 경우는 제조에서 생산을 거쳐 버스 장착 전 첫 완성검사 때까지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지식경제부 산하의 가스안전공사가 검사를 맡고 있다. 반면 CNG버스에 장착된 이후에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국토해양부 산하 교통안전공단에서 정기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관리체계가 이원화되어 있다 보니 당연히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그래서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도 이런 문제점을 반영, 지난해부터 ‘CNG차량 용기검사 기관의 일원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그 일원화 관리 주무처를 교통안전공단으로 할 것이냐, 가스안전공사로 할 것이냐를 두고 양기관간 첨예한 대립이 있다 보니 아직까지도 결과를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사고 이후 시민들은 버스를 향해 달리는 폭탄이라 지칭할 정도로 불안해하고 있는데, CNG차량의 안전관리 정책은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허술한 점검’도 이 못지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기점검은 용기통에 대한 정밀점검을 생략한 채 가스누출기로 가스가 새는지 여부만 살피고 있다. 또 CNG차량 운행전후에 실시되는 수시점검도 대부분 육안검사, 간이탐지기 검사, 비눗물 검사 등의 형식적인 점검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을 봤을 때 점검이 점검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이번에 폭발사고가 난 버스도 정기점검과 수시점검을 받았지만 결과는 모두 ‘이상이 없다’라는 것이었다.

이번 사고로 서울시도 검사체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급히 서울시내 66개 버스회사에서 일을 하고 있는 정비사 1명씩을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위탁해 ‘CNG 관리자’ 양성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앞으로 이들을 특별안전관리사로 선임할 계획도 함께 세웠다. 하지만 이러한 서울시의 조치는 사후약방문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28,842대의 CNG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환경개선 차원에서 CNG차량의 보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여 그 양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하루빨리 CNG차량 안전관리시스템이 종합적으로 재정비되지 않는다면 늘어나는 보급량만큼 국민들의 우려와 걱정도 늘어갈 것이다. 시급히 개선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가 현재 추진 중인 특별안전관리사 선임계획을 한 차원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단순한 1회성 양성교육이 아니라 CNG차량 운영회사가 반드시 가스안전기사나 가스기능사 등의 관련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이나 CNG교육을 이수한 정비사를 선임하도록 하는 등의 세밀한 법적장치가 마련해야 한다.

또한 CNG차량 검사업무 일원화도 하루빨리 매듭지어 최소한의 CNG차량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런 조치가 완성될 때만이 대중교통이 진정한 시민의 발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