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만 안전파트장 | 동우화인켐(주)

나무에는 편안함, 산뜻함 등 수많은 이미지가 있다. 특히 많은 이들의 머리에는 생명력이라는 단어가 떠오를 것이다. 십장생 중에 하나로 소나무가 꼽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에 걸맞게 실제로 나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정말 강인한 모습을 보인다. 바위틈에서도 절벽에서도 또 도시의 아스팔트에서도 나무는 뿌리를 내리고 그 생명력을 뽐낸다.

그러나 나무도 그 생명력을 잃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나무의 맨 위쪽부터 시들어 버릴 경우 아무리 강인한 나무라고 하더라도 조금씩 말라가다 결국 죽고 마는 것이다.

헌데 우리들이 일하는 직장도 나무와 비슷하다. 최고경영자들이 안전을 무시해버리면 그 직장의 안전은 곧 시들어 버리게 되는 것이다. 즉 ‘조직도 높은 곳에서부터 시든다’라고 말을 바꾸어도 충분한 설득력이 있다.

아무리 근로자들이 안전을 울부짖어도 최고경영자들이 이에 대한 관심이 없다면 안전나무는 뿌리를 내릴 수 없다. 결국 안전제일의 기치 아래 안전나무를 키우는 것은 분명히 최고경영자의 책임이다.

그렇다면 안전 나무가 시들지 않게 하기 위해 최고경영자들은 어떤 노력을 전개해야 할까. 사실 회사 내에는 재해를 일으키는 사람, 조작실수를 하는 사람, 규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 등 불안전한 행동을 하는 이들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 최고경영자는 누가 나쁜가에 초점을 두지 말고, 무엇이 나쁜가의 관점에서 안전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안전의 밑거름을 얼마나 주었는지, 안전의 나무가 강인하게 자라나도록 어떤 행위를 하였는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런 물음에 대한 답변은 안전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안전문화는 조직의 최고경영자가 강한 리더십으로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낸 안전한 생각방식, 습관, 행동 등의 발자취이기 때문이다.

즉 그 기업이 장시간에 걸쳐서 뿌리 내린 SOFT, HARD 양면에 걸친 유·무형의 안전재산인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곧 근로자들에게 있어서 회사의 자랑꺼리로 여길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물론 안전문화를 전사적으로 확산시키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그러나 안전문화가 널리 퍼진 조직은 분명 아름다운 나무로 성장해 뿌리부터 줄기, 잎사귀까지 번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지만 안전의 나무를 키우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최고경영자의 의지다. 최고경영자의 안전의식은 절대 시들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안전의 나무가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