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근로자 한 씨는 일 년 전부터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손저림 증상을 겪어왔다. 처음엔 그저 ‘나이 탓이겠거니’ 하고 가볍게 생각했지만 최근 들어 손에 쥔 공구를 놓치는 등 증세가 심각해졌다.

그제서야 한 씨는 손의 근력이 눈에 띄게 약해진 것을 자각하고 병원을 찾았다. ‘별일 아니겠지’ 하며 검사 결과를 기다리던 한 씨는 의사로부터 ‘수근관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을 전해 듣고는 깜짝 놀랐다.

게다가 증상을 방치해 근력의 저하까지 불러왔다는 의사의 설명이 이어지자 한씨는 뒤늦게 자신의 안일함에 대한 후회가 들었다.

위 사례처럼 손저림 현상을 불러오는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가 바로 ‘수근관증후군’이다. ‘수근관증후군’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두꺼워진 인대가 손목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을 눌러 생기는 증상이다.

주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발병률이 높다.

발병 원인인 손목 인대가 두꺼워지는 이유에는 반복적인 손목의 사용, 임신 또는 내분비계통 질환으로 인한 갑작스런 체중증가 등이 있다.

증상은 정중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엄지부터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손가락에 저림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때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거나 증상을 방치하게 되면 엄지손가락 밑 근육이 위축되어 손 근력이 약해지기도 한다.

그렇다고 손에 저림현상이 오거나 손 근력이 약해졌다고 무조건 ‘수근관증후군’이라고 볼 수는 없다. 드물게 목디스크 때문에 손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목디스크로 발생되는 손저림의 경우 주로 손끝이 저리며 목의 움직임에 따라 저림의 정도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손저림 현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꼭 목디스크 여부 등을 포함한 진단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전도검사나 근전도검사가 시행되며, 경추에서 오는 증상과 감별하기 위해 경추부 자기공명영상검사나 컴퓨터단층촬영검사를 실시하기도 한다.

치료에는 주로 약물치료와 주사치료가 시행되지만 심한 경우 수술도 시행한다. 일단 치료에 들어가면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 가능한 손목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이밖에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손목 보조기를 사용하기도 해야 한다.

하지만 역시 가장 좋은 치료법은 예방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었으면 한다. 작업 전 항시 스트레칭 등을 통해 몸의 긴장을 풀어줘야 하며, 장시간의 반복적인 작업 후에는 꼭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아울러 가벼운 증상이라도 나타날 때에는 임의로 병명을 판단하지 말고, 가까운 전문의료기관을 내원해 정확한 검사를 받은 후 증상이 커지기전에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