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칼럼


 

50대 근로자 김 모씨는 언제부터인가 팔꿈치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물건의 이동 작업이나 컴퓨터 타이핑을 할 때 아프던 것이 최근에는 커피잔을 들다가도 통증이 느껴질 정도가 됐다. 이처럼 통증이 잦아지자 김씨는 문고리를 돌리기는 것은 물론 세수하는 것조차 힘든 일상이 돼버렸다.

결국 김 씨는 인근 병원에 내원했고, 그곳에서 ‘테니스 엘보우’라는 진단을 받았다. 진단명을 본 김씨는 태어나서 한 번도 테니스를 쳐본 적이 없는데 어떻게 ‘테니스 엘보우’라는 병에 걸렸나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위의 김씨 사례처럼 대다수 ‘테니스엘보우’ 환자들은 질병의 원인과 관련해 의아함을 나타낸다. 이런 의아함은 질병의 정확한 발생 원인을 모른 채 단순히 명칭만으로 병을 판단하려 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테니스 엘보우는 대표적인 과사용증후군(Overuse syndrome)으로, 의학적 용어로는 ‘상완골 외상과염’이라고 불리는 질환이다. 손목 힘줄이 팔꿈치 주위의 뼈에 붙는 부위인 견골 접합부에 문제가 생긴것으로, 이 부위에 염증이 발생해 붓거나 심하면 부분적으로 파열이 일어나는 증상을 동반한다. 주로 테니스 종목에서 지속적인 백핸드 스트로크를 하다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테니스 엘보우’라고 불린다. 하지만 이외에도 빨래를 손으로 짜거나, 설거지를 하는 등 단순한 일상생활을 반복할 때도 흔히 발병하는 질환이다.

증상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손등을 위로 향하게 한 후 주먹을 쥐고 힘껏 손등을 위로 젖히기만 하면 된다. 이때 팔꿈치 바깥쪽으로 통증이 일어나면 발병을 의심해 봐야 한다.

증상 확인을 통해 발생한 것이 확실시 되면 최대한 빨리 휴식을 취해야 한다. 휴식은 ‘테니스 엘보우’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통증이란 몸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기 때문에 통증이 있다면 해당 부위의 사용을 자제해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만약 쉴수가 없는 상황이라면 엘보우 밴드사용을 추천한다. 엘보우 밴드란 팔꿈치 아래 부위에 착용하는 밴드로써 팔꿈치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만약 엘보우 밴드를 착용하고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해 체계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현재는 근골격계 초음파가 발달하여 팔꿈치 주위 힘줄의 염증이나 파열, 석회화 등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

병원에서의 치료에는 소위 뼈주사라고 불리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주사요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는 통증해소에는 가장 강력한 치료 방법이지만 부작용이 많기 때문에 사용을 함에 있어 그 결정을 신중히 해야 한다.

또 주사를 맞고 통증이 없다고 바로 운동을 하거나, 일을 하게 되면 재발률이 100%에 달하기 때문에 주사를 맞은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아울러 일단 재발하게 되면 주사를 맞기 전보다 힘줄의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밖의 치료법으로 최근에는 ‘증식치료’가 각광받고 있다. 증식치료는 주로 만성적인 테니스 엘보우 환자에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힘줄 자체를 강하게 해주어서 통증을 해소하는 치료 방법이다.

이와 함께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치료 방법과 자신의 피를 이용한 ‘PRP 시술’ 등도 최근 활발히 시술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타 질병이 다 그러하듯 제일 중요한 것은 일상적인 생활습관을 바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평소 손목의 신전근, 굴곡근, 회전근에 대한 스트레칭을 꾸준히하여 이들 부위를 강화시켜 준다면 ‘테니스 엘보우’는 충분히 예방할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