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별 의무 공동(空同)조사 일원화 운영
KT·한국전력공사 등 5개 기관과 업무협약

서울시는 지난달 25일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와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미지 제공: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달 25일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와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이미지 제공: 서울시)

서울시가 제각각 관리되고 있는 상·하수도관과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지하철 등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통합 관리한다. 시는 이를 위해 2023년까지 2조7087억원이 투입할 계획이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KT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지하시설물 대표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에는 총연장 5만2697km 규모의 시설물이 묻혀있다. 시는 이중 상·하수도관과 열 수송관, 공동구, 지하철, 지하차도 등 2만4958㎞를 관리하고 있으며, 나머지  가스, 전기, 통신, 난방 등의 시설(2만4958㎞)은 관련 기관에서 책임지고 있다.

문제는 이들 기관들이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있으며, 기관별 안전관리기준도 제각각이다보니 비상상황 시 빠르게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아현동 통신구 화재, 목동 열수송관 파열, 문래동 수돗물 사태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에 시는 2023년까지 2조7087억원을 투입해 이들 지하시설물을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시는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 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대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설협의체 구성…市가 컨트롤타워 역할 수행
우선 시는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그동안 각 관리주체가 제각각 운영 중이던 안전관리기준을 통합 관리하며, 사고 대응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올 하반기에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수자원공사로 구성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상설협의체’를 발족하여 기관별 안전관리 정보를 공유하고 정기적으로 합동점검 및 훈련도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기관별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할 공동(空同)조사도 서울시가 일원화하여 운영하는 한편,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전력구, 통신구, 상수도관을 공동 수용할 수 있는 ‘소형 공동구’ 설치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급증함에 따라 ‘지하개발 안전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시는 상·하수관로 및 열수송관 등의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하시설을 조기 정비하기 위해 2023년까지 2조4699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밖에도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보수보강 시점 산출 예측시스템을 개발하고, 단기유지보수와 사후관리에 방점이 찍혀있던 시설물 관리를 중장기적·선제적 대응방식으로 전환해 생애 주기적 관점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