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들은 생산성과 품질, 원가감소 등의 경쟁력이 향상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4~2017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분석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도입 중소기업들은 ▲평균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 등의 성과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공정개선 효과의 경우 종업원수 10인 미만 기업들의 생산성이 39.0% 증가해 평균(30.0%) 개선 효과를 크게 상회했다. 이들은 품질·원가·납기 영역에서도 개선 효과를 얻었다.

매출액의 경우 10억원 미만 기업들은 원가가 31.2% 감소했다. 이는 평균(15.9%)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또 생산에서는 평균 36.1%, 품질은 46.4%, 납기는 22.0% 효과를 얻어 전 영역에서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경영개선 효과에서는 종업원수 10인 미만 기업이 84.9% 고용이 증가해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다. 이들은 산업재해 감소율에서도 38.4% 감소율을 기록해 평균 수치보다 2배 이상 높은 기록을 세웠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에서 매출 증가율이 202.3%에 달해, 전체 평균 7.7%를 크게 앞질렀다. 고용증가율도 33.1%로 1위를 기록했다.

업종별 분석에서는 소규모 기업이 많은 ▲식료품 제조업 ▲목재 제조업 등에서 높은 성과를 거뒀다.

스마트공장 도입 수준별로는 도입 기업의 78.7%를 차지하는 기초(레벨1~2) 수준 기업들이 31.2%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었다. 다만 품질·원가·납기 개선 효과는 중간 2 수준인 레벨 4단계 기업에서 가장 높았다. 레벨 4단계 기업은 아직까지 전체의 1%(65개) 수준이다.

스마트공장 도입을 완료한 기업과 유사 조건의 미 도입 기업에 대한 비교분석(PSM)에서는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이 매출액·수출액·고용에서 더 높은 성과를 얻었다. 이 격차는 기간이 경과할수록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향후 스마트공장 정책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성과가 높은 스마트공장을 조기에 확산하기 위해 이달부터 전국 19개 제조혁신센터에서 지역별 성과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높은 성과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소규모 기업에서 성과가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해 이들에 대한 스마트공장 저변 확대와 고도화 공장 구축 등 투트랙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