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현대중공업지주에 대우조선해양 경영권을 넘기는 민영화에 돌입하면서 메가 조선사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 구조조정 등을 우려한 노조의 반발 외에도 독과점 논란 등 최종 인수합병(M&A)까지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지난달 3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과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수주 잔량 기준으로 세계 1, 2위를 차지했다.

클락슨리서치 집계 결과 수주잔량 글로벌 1위는 1만1145CGT를 보유한 현대중공업그룹이다. 2위는 대우조선해양으로 5844CGT다. 두 회사의 수주잔량을 합치면 1만6989CGT로 전 세계 조선업의 20%를 차지한다.

특히 국내 조선업계가 강점을 보이고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양사가 합칠 경우 점유율이 60%대에 이른다. 이 때문에 초대형 조선사의 출범으로 해외 경쟁업체들이 시장 독과점 우려 등을 제기하며 반발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 인수를 완전히 마무리 지으려면 우리나라의 공정거래위원회를 포함해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 당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심사 자체가 통상적으로 수개월이 걸리는 데다 각 국의 판단을 쉽게 예측하기 어려워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

현대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조선산업은 고객(선주사)들이 워낙 시장에서 강력한 지배력을 갖고 있다. 단순히 조선소의 점유율 증가만으로 시장에 심한 훼손을 준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독과점 문제를 극복하는 데 있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반적인 합병이 아닌 경영권 이전으로 물적 분할 후에도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2개의 상장사로 여전히 각각 남는다”며 “국제사회가 반독점 등을 이유로 세계무역기구(WTO) 등에 해당 거래를 막아달라고 신청해도 시장 경쟁 제한성이 없다고 판단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