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망자 중 안전사고 비율 첫 10% 이하 기록
교통사고·자살 감소한 반면 화재는 증가
행안부, 등급 낮은 자치단체 대상 맞춤형 컨설팅 실시

연초부터 정부 주도로 추진해온 ‘국민생명지키기 3대 프로젝트(교통사고·자살.산업재해 예방)’가 소정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안전사고 사망자 수가 최근 3년(2015년~2017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전체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 10% 아래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1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18년 전국 지역안전지수(2017년 기준)’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연도별 안전사고 사망자 수(전체 사망자 중 비중)는 2015년 2만8784명(10.4%), 2016년 2만8218명(10.0%), 2017년 2만7154명(9.5%)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교통사고, 자살 등에서 사망자 수가 감소했다. 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OECD 평균보다 높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화재는 최근 3년간 249명, 291명, 338명으로 증가했다. 올해 화재 사망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 데에는 지난해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등 잇따른 대형화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전반적 안전수준 개선
지역안전지수 분야의 사망자 수와 사고 발생건수가 감소하는 등 지역별로 전반적인 안전수준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사망자수(교통+화재+자살+감염병)가 2016년 2만128명, 2017년 1만9129명, 발생건수(화재+범죄+생활안전)는 2016년 72만2421건, 2017년 69만3892건으로 각각 감소했다. 지역별 분야별 1등급은 ▲서울·경기(교통사고) ▲인천·경기(화재) ▲세종·전남(범죄) ▲부산·경기(생활안전) ▲세종·경기(자살) ▲울산·경기(감염병) ▲서울·충북(자연재해) 등으로 조사됐다. 등급이 높을수록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을 의미한다. 반면 5등급 지역은 ▲광주·전남(교통사고) ▲세종·충북(화재) ▲서울·제주(범죄) ▲세종·제주(생활안전) ▲부산·충남(자살) ▲대구·경북(감염병) ▲인천·경북(자연재해) 등으로 분석됐다.

특히 경기도는 5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에서 1등급을 차지했다. 화재를 제외한 4개 분야(교통사고,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에서는 4년 연속 1등급을 기록했다. 제주(생활안전, 범죄)나 세종(화재), 전남(교통사고), 부산(자살)은 특정 분야에서 4년 연속 5등급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대구 달성이 범죄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 1등급을 달성했다. 이어 경기 의왕(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과 울산 울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가 총 5개 분야에서 1등급을 차지했다.

이밖에도 서울 종로는 5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감염병)에서 5등급에 머물렀다. 행안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2019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지역안전지수 결과와 연계해 안전이 취약하거나 노력하는 자치단체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등급이 낮은 자치단체를 대상으로는 지역안전지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교육과 함께 맞춤형 지원(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지역안전지수는 지역의 안전수준을 제대로 진단하고 과학적으로 개선해 나기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자치분권의 큰 흐름 속에 안전 분야도 자치단체의 역할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