社 說

최근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 관련 기관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는 활동은 ‘건설업 추락재해 예방’이다.

지난 2일 고용부는 4~5월 두 달간 추락재해 예방대책을 집중 홍보하고, 이어서 전국 600개 위험현장을 대상으로 불시감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지난 4일에는 전국 27개 지역에서 동시에 건설업 추락사고 예방을 주제로 안전점검 행사를 가졌다.

고용부가 이처럼 건설업 추락재해 예방에 주력하는 가장 큰 이유는,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추락재해 현황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실제 2015년부터 2017년 11월까지 건설업에서 발생한 사고성 사망재해자는 모두 1394명인데, 이중 추락으로 인한 사망재해자는 784명으로 무려 56.2%나 차지한다. 즉 사망자 2명 중 1명은 추락사고로 인해 숨진 것이다. 이는 전체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추락재해를 잡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심각한 재해현황 외에도 고용부가 추락재해 예방에 중점을 두는 이유는 또 있다. 그것은 추락재해의 경우 예방활동을 한 만큼 효과가 확실하다는 점이다. 일례로 지난 9일 서울 동작구의 한 고층 아파트 공사장에서 미장 작업을 하던 한 노동자가 균형을 잃고 27층 창틀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자칫 사망 등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 했던 사고였지만, 다행히 이 노동자가 6층에 설치된 낙하물 방지망에 걸리면서 생명에 지장이 없이 구조될 수 있었다.

만약 방지망이 없었다면 이 노동자는 어떻게 됐을까? 생명이 위중할 정도의 부상을 당했거나 숨졌을 가능성이 높다. 생과 사를 가른 것은 결국 ‘안전설비’였다. 이처럼 간단한 안전설비라도 구축하면 노동자의 목숨을 살릴 가능성이 크기에 고용부가 발 벗고 나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박수를 보내고 대환영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씁쓸함을 감출 수가 없다. 아직도 정부가 나서서 안전시설의 설치 유무를 점검해야만 하는 현실이 애석하다.

고용부가 감독을 통해 살펴보겠다고 밝힌 것들은 대단한 것들이 아니다. 작업발판·안전난간·안전방망·개구부 덮개 등이 대부분이다. 이와 함께 안전모·안전대 등 보호구의 적정 지급 및 착용여부를 중점 확인한다고 한다. 기본 중의 기본적인 것들이다. 헌데 아직도 당연히 지켜져야 할 것들이 지켜지고 있지 않으니, 정부가 나서서 감독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의 모습이라니, 참으로 슬픈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변했으면 한다. 그리고 경각심을 가졌으면 한다. 건설업은 그 특성상 다양한 복합공종으로 유해.위험사항이 수시로 변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이 높다. 또 고소작업이 많아 추락재해의 위험이 상당하다. 위험에 위험이 더해지는 곳이 건설현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서 안전이 최우선되지 않으면 대체 어디에서 안전이 제일이어야 할까? 우리나라 대형 건설사의 안전 기술력은 세계 수준급이라는 것이 업계 대부분의 평가다. 문제는 이를 현장에서 발휘하느냐다. 말로만 서류로만 외치지 말고, 솔선수범해서 건설현장에 안전문화를 정착시켰으면 한다.

중소현장은 재정적, 인적여건이 미흡하다면 적극적인 지원 요청에 나서길 바란다. 안전보건공단이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현장의 추락방지 안전시설 설치와 임대비용을 지원하는 사업 등 중소현장의 안전시설 강화를 위한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관심과 열정만 있다면 현장의 안전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것이다.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포문을 정부가 열었다. 이제 현장이 응답할 차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