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월평균 소득은 329만원, 중위 소득은 241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일자리통계를 통해 본 임근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소득을 기초로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말단사원부터 임원급까지 모든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평균값이 평균소득(329만원), 전체 근로자 중 중간 정도에 위치한 사람들이 받는 임금이 중위소득(241만원)이다.

빈부격차가 큰 사회에서는 중위소득이 평균소득보다 비교적 체감 소득에 가깝다. 즉 보통 직장인들은 월 평균 241만원을 벌고 있다는 얘기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위소득의 50~150% 미만인 임금근로자는 전체의 56.4%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50% 이상인 근로자는 30.2%, 50% 미만(상대적 빈곤율)은 13.4%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 수치로만 보면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가 그렇게 심각하지는 않아 보이지만 사회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취약근로계층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실제 저임금 근로자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25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많고 85~150만원 미만은 19.4%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250~350만원 미만은 16.6%, 350~450만원 미만은 11.8%, 450~550만원 미만은 6.6%, 550~650만원 미만은 4.6%, 650만원 이상은 8.6%다.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이다. 여자는 각각 236만원, 179만원이다. 소득구간 분포를 보면 350만원 이상을 받는 남자는 전체의 41.4%를 차지하지만 여자는 16.8%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으로 평균소득이 높았다. 20년 이상 근속한 경우 평균소득은 678만원, 1년 미만 근속한 경우는 213만원이다.

산업별로 보면 금융 및 보험업의 평균소득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이 546만원으로 그 다음을,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이 427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박 및 음식점업이 173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199만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228만원,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은 238만원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