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회적으로 안전을 언급함에 있어 빠지지 않는 단어가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안전문화(Safety Culture)’다.

안전문화란 사업자나 개인이 ‘안전 확보’라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식의 하나로써, 안전에 관하여 경영자 및 근로자들이 공유하는 태도나 신념, 인식, 가치관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즉 ‘우리가 안전을 일구는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안전문화가 통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198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국제원자력안전자문그룹(INSAG)이 체르노빌 원자력 사고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후 안전문화는 사업장의 안전수준을 가늠하는 기준 중 하나로 본격 사용됐다. 예를 들어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살펴보면, 사망사고의 원인 대부분은 ‘설비·기계 및 물질의 부적절한 사용·관리’, ‘구조물 등 그밖의 위험 방치 및 미확인’, ‘작업수행절차 미준수’ 등이다. 즉 피재 당사자가 처해있는 상황 및 조건에 형성된 안전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즉 ‘안전문화’가 영향을 미쳐 발생한 사고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사회에 형성된 문화의 파급성은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막대하다. 잘못된 문화가 우리사회에 미친 영향을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갑을관계가 그 대표적인 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고용주와 피고용인 간의 수직적인 갑을관계가 우리사회에 끼친 악영향은 그 사례를 일일이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마찬가지로 안전에 태도 즉 안전문화가 사고발생에 끼친 영향 역시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따져보면 항상 빠지지 않고 들어가 있는 ‘안전불감증’도 이런 잘못된 안전문화의 폐해다.

따라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업장에 올바른 안전문화가 자리를 잡아야 한다. 그리고 그 시작은 현재 사업장의 안전문화 수준을 명확히 분석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그간의 재해율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경영진이 생각하는 안전의 관점 ▲각종 제도 규정 및 절차가 직원들에게 어느 정도 인식되어 있는지 ▲제도와 규정의 준수 여부(미준수의 원인 분석 포함) ▲안전교육과 훈련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도 ▲근로자간 의사소통의 원활함 ▲안전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 ▲생산부서가 가진 안전권한 등에 대한 명확하고 정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에 기반을 두고 안전문화를 퍼트려 나가야 기업이 영속할 수 있고 안전이 정착될 수 있다.

문화는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후천적인 학습에 의해 형성된다. 또 공간적, 시간적으로 전달되고 발전하며, 단기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축적되면서 드러난다. 아울러 공통적인 인식 또는 행동의 틀을 형성하고, 사회의 각 요소에 유기적 연결을 통하여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문화의 특징이다.

이런 문화의 특성을 반영해 장기적이고도 꾸준한 노력을 펼쳐나가야 한다. 당장 성과가 드러나지 않는다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려는 노력을 멈추면 결국 영원히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 반면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노력을 지속해 안전문화를 정착시킨다면 이후 거둘 수 있는 효과는 무궁무진하다. 사업장에 뿌리내린 안전문화를 바탕으로 경영진을 비롯한 근로자들 스스로가 안전을 우선해 작업할 것이고 이는 곧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펼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된다. 나아가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재해발생에 따른 막대한 손실도 예방할 수 있다.

안전을 문화로 정착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그 과정이 어려웠던 것만큼 거둘 수 있는 열매는 많다. 미래를 내다보고 안전문화의 정착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기업이 늘어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