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국민의 인권과 생명이 보장되는 민주주의 나라인 대한민국에 살고 있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의 안전도 보장돼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쉽게 긍정적인 대답을 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최근 잇따른 대형 안전사고의 원인과 대응과정 등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안전이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느낌을 갖기 힘든 것이다.

특히 협력업체, 여성, 외국인 근로자 등 사회적 약자의 안전은 그야말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윤추구라는 경제적 논리가 여전히 최우선 순위에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은 당연히 차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가 ‘국가 대개조’라는 시대적인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정부조직을 개편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참으로 고무적이다.

‘아픈 만큼 성숙해 진다’는 말처럼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체계, 안전관리수준, 국민들의 안전의식이 한 단계 더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정부의 노력만으로 뚜렷한 성과가 나오기는 힘들다. 정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한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에대해 국민들이 동참하지 않을 경우 공염불이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 모두는 어떤 노력들을 전개해야 할까. 먼저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우리 속담을 반드시 명심할 필요가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이 유아기에서 아동기까지 성장하는 과정에서 안전의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단순히 몇 가지 안전수칙을 전달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왜 불안전한 행동을 하면 안되는지, 어떤 것이 위험한지 등 안전의 원리를 알려주어야 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는 안전교과목이 의무화돼야 한다. 이를 위해 부모들은 입시를 위한 교과목보다 안전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찾아온 행복은 사상누각이고 신기루에 불과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 안전은 내가 지킨다’라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안전을 남에게 맡겨버리는 순간 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은 커지기 마련이다. 자신이나 가족, 직장동료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가장 안전한 사회가 가장 민주적인 사회다’라는 말이 있다. 가정, 직장, 사회 안전을 위해 우리 모두는 한 발짝씩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