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세월호 침몰 사고, 지하철 추돌사고, 요양병원 화재사고 등을 비롯해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로 인해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국가안전처가 신설되고 소방방재청·해양경찰청이 폐지되는 등 정부조직 변화의 중심에는 바로 안전을 향한 국민들의 관심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정부조직에만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산업현장에서도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각종 재난사고에 대비한 안전 매뉴얼을 대대적으로 재정비하는 등 무엇인가를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과정들이 긍정적인 요소만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깊은 고민을 해봐야 한다. 유사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단지 대책을 세우는데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익히 알고 있듯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 받는 산업안전보건법을 보유하고 있다. 기업 또한 세계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OHSAS 18001, KOSHA 18001, BBS, EHS 등의 안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불감증에 기인한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이는 좋은 시스템을 갖추고는 있지만 정착 안전을 실천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스템은 마련돼 있는데 이를 생활에서 습관적으로 이행하거나 긴박한 상황에서 행동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실천 과정이 부족한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예를 들어보면 올해 2월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이 개정됐다. 이에 따르면 어린이 통학버스에는 황색등과 적색등이 앞뒤 좌우로 부착돼야 한다. 황색등이 점멸할 때에는 정차 중이며, 적색등이 점멸할 때에는 승강구가 열려 아이들이 승하차 중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안전표시로 황색등이나 적색등이 점멸 중일 때에는 통학버스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모든 차량은 일시 정지의무가 있고 이후에는 서행으로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을 알고 있는 운전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좋은 제도를 만들어 놨지만 제도에 대한 홍보도 미흡했고 이를 교육하거나 정보를 전달받는 창구가 없기 때문이다.

좋은 제도와 시스템, 설비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이용하는 훈련이나 교육이 없다면 결국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즉 국민의 안전을 위해 기존 시스템이나 제도가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마땅히 개선해 나가야 하겠지만 무조건 없애고 새로 만드는 식의 안전대책 수립 방법은 우리사회에서 없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사회 전반에 안전을 실천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안전문화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성숙한 대처가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