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있어서는 안되고, 있을 수도 없는 일이 발생했다. 아직까지 정확한 사망자수도 집계되지 못한 세월호 대참사 얘기다. 이 사고와 관련해 실종자 수색에 난항을 겪으면서 정부당국의 안일한 대처는 도마 위에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

정부의 대응과 대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잠시 차치하더라도 한 가지 문제는 반드시 짚어봐야 한다. 바로 선사와 선장, 그리고 일부 선원들의 안전불감증이 그것이다.

정부 당국에 따르면 세월호는 배가 기울기 시작한다면 오전 8시 55분경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에 신고했다. 이후 10시 15분이 돼서야 배안에 탈출하라는 방송이 울려 퍼진 것으로 전해졌다.

배가 급격하게 기울기 시작하고도 1시간이 더 지난 후의 일이다. 한시가 시급한 상황에서 선장과 선원들은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대형 인명 피해를 야기시켰다는 멍에를 벗어나기 힘든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발생했을까. 일단은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겠지만 안전불감증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을 부인할 이들은 없을 것이다.

안전불감증이 도를 넘었다는 것은 세월호 선사가 직원교육에 얼마만큼의 투자를 했는지를 통해 곧바로 파악할 수 있다. 정부 당국에 따르면 회사 측이 지난 1년 동안 사용한 승무원의 교육비는 고작 54만1000원에 불과했다. 이곳 직원이 118명인 점을 감안하면 직원 1인당 4600원의 교육비가 지출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비상 시 대피훈련 등 안전교육이 이뤄졌을리는 만무하다.

즉 회사 측이 평소에 해양인의 기본 소양과 안전교육만 실시했더라도 1시간 이상의 소중한 순간이 허투루 지나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 구조과정에서도 선장과 선원들의 살신성인 자세는 분명 큰 빛을 냈을 것이다.

하지만 익히 알고 있듯이 그렇지 않았다. 문제는 이 같은 사안이 세월호 선사에만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 21일 국내 대형 여객선사 5곳이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직원 교육훈련비 및 연수비로 쓰인 금액은 총 1269만원으로 나타났다. 5개 선사의 직원수는 총 413명으로 1인당 약 3만원 정도가 교육비가 쓰인 셈이다. 서해를 비롯해 동해, 남해 등 연근해와 댐, 호수 등 내륙에서 언제라도 세월호 침몰과 같은 참사가 발생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인 것이다.

이에 정부는 이제부터라도 안전불감증 타파를 위한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헌데 아직까지 정부는 그 핵심에 다가가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움이 크다. 교육부는 지난 21일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1학기 수학여행을 당분간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세월호 참사가 수학여행 중 발생한 사고이다 보니 어찌보면 당연한 대응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수학여행 그 자체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다. 안전불감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선사와 선원들이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정부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에 대해서는 선결해 나가는 동시에 안전매뉴얼 정비, 안전관리 내실화 등을 통해 본질적으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물론 그 핵심에서는 안전교육을 강화해 안전불감증을 제거해 나간다는 확고한 의지가 자리잡고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